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생활

망막유수신경 섬유란? 증상과 치료

by Thriving 2023. 8. 26.
반응형
1. 망막유수신경 섬유란 
2. 망망유수신경 섬유 원인
3. 망막유수신경 섬유의 증상

 

1. 망막유수신경 섬유란 

 

망막 신경섬유층에 수초라고 불리는 흰색 물질이 둘러싸인 현상입니다. 수초는 신경전달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지만, 정상적으로는 안구 내부에 들어오지 않고 시신경 유두 바깥에만 존재합니다. 그러나 약 0.3-1%의 사람들에서는 사상판이라는 시신경 유두의 구멍을 통과하여 안구 내부로 들어오게 됩니다. 이 때 수초가 둘러싼 신경섬유를 망막유수신경 섬유라고 부릅니다.

 

2. 망막유수신경 섬유 원인


망막유수신경 섬유의 정확한 발생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사상판의 결함으로 인해 희소돌기 아교세포라는 세포가 망막까지 도달하여 수초를 만드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망막유수신경 섬유는 대부분 출생 전에 형성되지만, 드물게 출생 후에도 형성되거나 사라질 수 있습니다.

 


3. 망막유수신경 섬유의 증상

시신경 유두의 상하측에 흰색 깃털 모양으로 유두와 연결되어 나타납니다 .
시신경 유두와 연결되지 않고 망막 주변부에 단독으로 떨어져 있을 수도 있습니다.
망막유수신경 섬유 내부에 모세혈관 확장이나 혈관 신생 같은 망막 혈관 이상이 나타나 유리체 출혈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시력은 대개 정상이지만, 광범위한 망막유수신경 섬유가 있으면 고도 근시와 약시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시야 검사에서 맹점이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망막유수신경 섬유의 치료방법은 따로 없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시력이나 시야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망막 혈관 이상이나 유리체 출혈이 발생하면 레이저 치료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망막유수신경 섬유가 다른 전신 질환과 관련되어 있을 수도 있으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과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망막유수신경 섬유
망막유수신경 섬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