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총빌리루빈이란?
2. 총빌리루빈의 정상범위는?
3. 총빌리루빈 검사의 목적은?
4. 총빌리루빈 검사 방법은?
5. 총빌리루빈 수치가 높은 경우 증상
6. 총빌리루빈 수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1. 총빌리루빈이란?
총빌리루빈은 혈액 속에 있는 빌리루빈의 총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빌리루빈은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생기는 담즙의 주요 색소로, 간에서 담즙의 형태로 분비되거나 대변으로 배출됩니다. 빌리루빈은 비결합 빌리루빈과 결합 빌리루빈으로 나뉘는데, 비결합 빌리루빈은 간으로 운반되기 전에 혈장에 용해되어 있는 상태이고, 결합 빌리루빈은 간에서 당과 결합하여 수용성을 가지게 된 상태입니다. 총빌리루빈은 이 두 가지 형태의 빌리루빈을 모두 합한 값입니다.
2. 총빌리루빈의 정상범위는?
성인의 총빌리루빈의 정상범위는 0.2~1.0mg/dL입니다. 직접 빌리루빈은 0.3mg/dL 이하, 간접 빌리루빈은 0.7mg/dL 이하로 나타납니다. 신생아의 경우, 총빌리루빈의 정상범위는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는 8mg/dL 이하, 48시간 이내에는 13mg/dL 이하, 84시간 이내에는 17mg/dL 이하로 정해져 있습니다12. 총빌리루빈의 정상범위는 성별, 나이, 임신 여부, 검사를 시행하는 기관, 검사 방법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검사 결과를 해석할 때는 검사를 시행한 병원이나 검사실에서 제시하는 참고치를 사용하여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3. 총빌리루빈 검사의 목적은?
총빌리루빈 검사는 간 기능이나 담도계의 상태를 평가하거나 황달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간질환, 담석, 담관암 등으로 인해 담즙의 분비가 저하되면 결합 빌리루빈이 증가하여 황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용혈성 빈혈, 길버트 증후군 등으로 인해 적혈구가 과도하게 파괴되면 비결합 빌리루빈이 증가하여 황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총빌리루빈 검사를 통해 이러한 상황을 감지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4. 총빌리루빈 검사 방법은?
총빌리루빈 검사는 혈액을 채취하여 시행합니다. 성인은 팔의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신생아는 발의 뒷꿈치에서 혈액을 채취합니다. 혈액은 특수한 시약과 반응하여 빛의 흡수도를 측정하는 기기로 분석됩니다. 빛의 흡수도는 빌리루빈의 농도와 비례하므로, 이를 통해 총빌리루빈의 수치를 알 수 있습니다.
5. 총빌리루빈 수치가 높은 경우 증상
황달:
피부나 눈이 노래집니다. 이는 빌리루빈이 혈액 속에 과다하게 쌓여서 피부나 점막에 침착되기 때문입니다.
소변색이 짙어집니다. 이는 빌리루빈이 소변으로 배출되면서 소변의 색소를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오한이 오고 열이 납니다. 이는 간염이나 담석 등으로 인한 감염이나 염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슴에 통증이 옵니다. 이는 담석이나 담관암 등으로 인한 담관의 폐쇄나 압박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기증, 어지럼증이 옵니다. 이는 빌리루빈이 뇌에 도달하여 신경계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총빌리루빈 수치가 높은 경우에는 간 기능 검사나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원인에 따라 약물 치료나 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간에 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음식이나 약물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총빌리루빈 수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총빌리루빈 수치가 높은 경우, 그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간질환, 담석, 담관암 등으로 인해 담즙의 분비가 저하된 경우에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이나 수술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용혈성 빈혈, 길버트 증후군 등으로 인해 적혈구가 과도하게 파괴된 경우에는 혈액학적인 검사와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과빌리루빈혈증의 경우에는 광선요법이나 혈액교환술 등의 치료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총빌리루빈 수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음이나 과식을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해주어야 합니다. 간에 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이나 음식은 가급적 피하고,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해소해야 합니다. 간에 좋은 영양소를 함유한 식품이나 보조제를 섭취할 때에는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용량과 방법을 알아보아야 합니다.
'건강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막유수신경 섬유란? 증상과 치료 (0) | 2023.08.26 |
---|---|
콜레스테롤의 종류와 몸에 미치는 영향 (0) | 2023.08.11 |
LDL콜레스테롤 뜻과 정상수치, 낮추는 방법 (0) | 2023.08.11 |
정상 혈압범위, 고혈압, 저혈압 기준 (0) | 2023.07.26 |
인대가 늘어났을 때 냉찜질 온찜질 (0) | 2023.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