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에 도움되는 법

출산휴가 일수와 급여 보상

by Thriving 2023. 7. 5.
반응형



출산휴가 일수
출산휴가 일수


출산휴가란 임신 중이나 출산한 여성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휴가로,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업주는 반드시 출산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출산휴가는 출산 전후 휴가와 배우자 출산 휴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출산 전후 휴가


출산 전후 휴가란 임신 중이나 출산한 여성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휴가로, 총 90일(다태아의 경우 120일)의 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반드시 출산 후에 45일(다태아의 경우 60일) 이상의 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출산이 예정보다 늦어져 출산 전 휴가가 45일을 초과한 경우에도 출산 후 45일 이상의 휴가를 보장받아야 합니다.

출산 전후 휴가는 유산이나 사산의 경우에도 적용됩니다. 유산이나 사산을 한 경우에는 임신 주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간의 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11주 이내: 5일
- 12주 ~ 15주: 10일
- 16주 ~ 21주: 30일
- 22주 ~ 27주: 60일
- 28주 이상: 90일


2. 출산전후(유산·사산)휴가급여

출산 전후 휴가 기간 동안에는 임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단, 지급 주체와 비율은 회사의 규모와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우선지원대상기업 :
최초 60일(다태아 75일)
ㆍ(정부) 최대 월 210만원의 출산전후휴가급여 지급
ㆍ(사업주) 통상임금과 210만원의 차액분 지급
마지막 30일(다태아 45일)
  정부가 통상임금 지급(최대 210만원)

- 대규모기업
최초 60일(다태아 75일) 사업주가 통상임금을 지급
마지막 30일(다태아 45일) 정부가 통상임금 지급(최대 210만원)

출산 전후 휴가 급여는 통상임금의 일정 비율로 계산됩니다. 통상임금이란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금액, 일급 금액, 주급 금액, 월급 금액 또는 도급 금액을 말합니다. 고용보험에서 지금하는 급여는 통상임금의 100%입니다.



3. 출산 전후 휴가 신청 절차


1. 사업주로부터 출산 전후 휴가 확인서를 발급받습니다.
2. 확인서와 함께 출산 전후 휴가 급여 신청서와 다음과 같은 구비서류를 준비합니다.
   - 통상임금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휴가 시작일 전 3개월의 임금대장, 근로계약서 등) 사본
   - 휴가 기간 동안 사업주로부터 금품을 지급받은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
   - 유산이나 사산을 하였음을 증명할 수 있는 의료기관의 진단서 (임신기간이 적혀 있어야 함)
3. 온라인 또는 센터 방문/우편으로 신청서와 구비서류를 제출합니다.
   - 온라인: 사업주가 확인서를 접수한 후 근로자가 급여 신청서를 접수합니다.
   - 센터 방문/우편: 확인서와 급여 신청서를 고용센터에 접수합니다.

출산 전후 휴가를 신청할 수 있는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우선지원 대상기업: 휴가를 시작한 날 이후 1개월부터 휴가가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 (휴가 기간 중 30일 단위로 신청 가능)
- 대규모 기업: 휴가 시작 후 60일이 지난 이후 1개월부터 휴가가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

출산 전후 휴가 종료일부터 12개월 이내에 신청하지 않을 경우에는 출산 전후 휴가 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단, 천재지변, 본인·배우자 또는 그 직계존·비속의 질병·부상, 병역법에 의한 의무복무, 범죄혐의로 인한 구속 또는 형의 집행으로 급여를 신청할 수 없었던 사람은 그 사유가 끝난 후 3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출산휴가 일수
출산휴가 일수

 

4. 배우자 출산 휴가


배우자 출산 휴가란 배우자의 출산을 이유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휴가로, 총 10일의 유급 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출산일로부터 90일 이내에 신청하고, 1회에 분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우자 출산 휴가 기간 동안에는 임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단, 지급 주체와 비율은 회사의 규모와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구분 - 우선지원상기업

• 최초 5일 - (정부) 최대 401,910원의 배우자 출산급여 지급,(사업주) 통상임금과 401,910원의 차액분 지급

• 나머지 5일 - 사업주가 5일분(통상임금 100%) 지급

배우자 출산 휴가 급여는 통상임금의 일정 비율로 계산됩니다. 고용보험에서 지금하는 급여는 통상임금의 100%입니다.


문의처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TEL. 국번없이 1350)
관할 고용노동부 고용센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