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경영

상온 초전도체, 초전도체와 관련주

by Thriving 2023. 7. 29.
반응형

 

초전도체
초전도체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초전도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초전도체란 무엇이고 왜 꿈의 물질이라고 불리는지, 그리고 한국 연구진이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는 논문이 어떤 내용인지, 그리고 이에 대한 학계의 반응은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초전도체란 전기저항이 0이 되는 물질을 말합니다. 전기저항이란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저항으로, 일반적인 금속이나 반도체 등에서는 전류가 흐르면서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 열은 에너지의 손실을 의미하므로, 전기저항을 없애면 저항이 소모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자기부상열차나 전력망 등에 사용할 수 있어 많은 혜택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초전도체는 극저온이나 초고압에서만 초전도 현상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가장 잘 알려진 고온 초전도체인 구리산화물 계열의 물질은 섭씨 -135도 정도에서만 초전도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조건에서만 초전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면, 실용적으로 활용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과학계에서는 상온과 대기압 조건에서도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하는 것이 오랜 꿈이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22일, 한국 연구진이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는 논문을 온라인 사이트에 게재했습니다. 이 논문은 아직 학계의 검증을 받지 않은 것으로, 누구나 쉽게 게재할 수 있는 사이트에 올라왔습니다. 저자로는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와 회사 연구자, 권영완 고려대 연구교수, 오근호 한양대 명예교수, 지난해까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에 근무했던 김현탁 박사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납과 인회석 결정 구조인 'LK-99'라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했다며, 이 물질은 섭씨 127도 이하에서 초전도 현상이 일어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1990년대 고려대 화학과 최동식 명예교수가 주장한 이론을 바탕으로 20여 년에 걸쳐 연구를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계는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회의적인 분위기입니다. 해외에서도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는 발표가 여러 차례 있었지만, 최근에도 재현성이 없다며 논문이 철회되는 등 논란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번 논문은 발표한 데이터가 세부 사항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물질 특성상 초전도성이 발현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논문 저자들은 이번 논문이 완성된 논문이 아니며 공개도 의도한 바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 대표는 한 저자가 다른 저자들의 허락 없이 무단으로 논문을 온라인 사이트에 올린 것이라며, 정식 동료평가 절차를 거쳐 논문을 게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현탁 박사도 미국 과학잡지와 인터뷰에서 두 논문에 결함이 많으며 본인의 허락 없이 게재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이번 연구가 올해 4월 '한국결정성장학회지'에 발표한 초전도체 논문을 보완한 것으로 국제학술지에 이미 심사를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표는 연구결과를 정리해 정식 학술지에 보낸 상황으로 동료 평가를 통해 검증받을 것이라며, 이미 제작법 등이 공개된 만큼 곧 학계의 평가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상온 초전도체는 과학계의 꿈의 물질로, 만약 실현된다면 많은 혁신과 발전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그 존재가 입증되지 않았으며, 학계의 엄격한 검증과 재현을 거쳐야 합니다. 이번 한국 연구진의 주장이 진실인지 아닌지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겠습니다.

  꿈의 물질이라고 불리는 상온 초전도체에 따라 관련 주식도 들썩이고 있습니다.
초전도체 관련주에 관심이 있으시군요. 초전도체는 전기저항이 0이 되는 물질로, 많은 혁신과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과학적 꿈의 물질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상온 상압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한국 연구진이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는 논문을 발표하면서, 초전도체 관련주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초전도체 관련주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초전도 선재나 자석 등을 제조하거나 연구하는 기업들이고, 다른 하나는 초전도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들입니다. 전자에 해당하는 기업들은 서남, 모비스 등이 있으며, 후자에 해당하는 기업들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이 있습니다.

서남은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 제조 기술 및 이를 이용한 고자장 자석 제조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이번에 발표된 논문의 저자 중 한 명인 김현탁 박사가 지난해까지 ETRI에서 근무하면서 서남과 공동연구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서남은 이번 논문 발표 후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초전도체
초전도체


신성델타테크

초전도체
초전도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은 초전도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들입니다. 이들은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 공정에서 초전도 성분을 사용하여 성능과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들은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이지만, 만약 상온 초전도체가 실현된다면 더욱더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초전도체 관련주는 아직까지는 미래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실제로 상온 초전도체가 발견되었다는 증거는 아직 없으며, 학계의 검증과 재현을 거쳐야 합니다. 따라서 초전도체 관련주에 투자하시려면, 기업의 기술력과 재무상태, 시장 점유율 등을 꼼꼼히 분석하시고, 위험을 감수하실 수 있는 범위에서만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경제와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금조정대출 금리란?  (0) 2023.07.27
Factors for Nvidia’s stock price increase  (0) 2023.05.19
What are meme stocks and why are they so popular?  (0) 2023.04.28
How to win the lotto  (1) 2023.04.25
How to invest your money safely  (0) 2023.04.25

댓글